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ABAP] Data Dictionary(Domain, Data Elements, Table)
    SAP/ABAP 2025. 3. 24. 17:22

     

    | Data Dictionary

     

    DB 관련 Object를 관리하는 영역으로 Domain, Data Elements, Structure, Table, Index, Buffer 등이 Dictionary에 포함되어 있다. 지금은 Domain, Data Elements, Table 세 가지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 구조

     

    • Data를 저장 하기 위해서는 Table Type을 만들어야 하며, 해당 Table의 한 행을 Structure라고함
    • Structure의 각 열을 Field(Data Elements Type)라고함
    • 이때, Data Element는 객체의 의미 정보(이름, 설명, 서치헬프 등)를 담고 있음
    • 기술적 정의(Data Type, 길이 제한, 고정 값 등)는 Domain or Built-in type으로 설정함

     

    Data Dictionary > Table > Data Elements > Domain

     

     


     

     

    | Domain

     

    • 객체의 기술적 정보를 정의
    • Data Type, 길이, 소수점, 음수 설정, 대소문자 구분 여부, 고정 값, Value Table 등을 설정.

     

    위 캡처의 Domain은 캐릭터 타입의 데이터로 글자 수는 20자로 제한되어 있으며, 대소문자를 구분(Case-sensitive)한다.

    위 도메인은 Fixed Value를 설정해 주었기 때문에 자동으로 Search help가 생성되며, 다른 값은 입력 불가능 하다.

     

    Fixed Value를 설정해 Search Help가 자동으로 적용된 모습

     

     


     

     

     

    | Data Elements

     

    • 객체의 의미 정보를 저장
    • 주로 테이블 하나 당 하나의 엘리먼트를 생성해 재사용을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는 적음
    • 테이블 조회 시, 라벨을 위해 많이 사용
    • Element에 Search Help를 적용하는 경우도 존재

     

    Z01_D_UID Domain으로 생성한 Element
    조회 Table의 길이 별로 나타날 Field 명을 설정

     

     


     

     

    | Table

     

    • ABAP 내에서만 사용하는 Internal Table과 DB와 연결되는 Transparent Table 두 가지가 있다(해당 페이지에서는 Transparent Table를 설명).

     

    생성 방법

    1. SE11에서 Database table에 table 이름을 넣고 Create 버튼 클릭

     

     

     

    2. Delivery Class, Data Browser/Table View Editing 설정

     

     

    Delivery Class

    • A (Application table) :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블로 주로 사용하는 기본 설정

    Data Browser / Table View Editing

    • Display/Maintenance Allowed : 조회와 수정이 자유로움
    • Only Display Allowed : 조회만 가능
    • Display/Maintenance Not Allowed : 조회와 수정 모두 불가능
    • Display/Maintenance Allowed with Restrictions : 조건이나 권한에 따라 데이터 조회와 수정 관리

     

    3. Technical Settings

     

    Toolbar에서 Technical Settings를 클릭해 설정한다.

     

    Data Class와 Size Category만 설정해도 되며, 아래에 있는 Buffering을 사용할 경우에는 데이터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어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Data Class

    • APPL0 (Master Data, Transparent Tables) : 데이터의 추가, 수정, 삭제가 거의 이루어 지지 않는 Master Data의 경우 주로 사용
    • APPL1 (Transaction Data, Transparent Tables) : 데이터의 추가, 수정, 삭제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Data의 경우 주로 사용

    Size Category

    테이블이 차지한 공간을 거의다 채웠을 때, 테이블은 일정 크기만큼 확장한다. 이때 확장하는 Size를 설정해주는 옵션으로 데이터의 추가 삭제가 빈번하게 이루어 지는지를 판단하여 Size를 설정한다.

    • 0 : 0 ~ 1,200 행
    • 1 : 1,200 ~ 4,900 행
    • 2 : 4,900 ~ 19,000 행
    • 3 : 19,000 ~ 78,000 행
    • 4 : 78,000 ~ 310,000 행
    • 5 : 310,000 ~ 620,000 행
    • 6 : 620,000 ~ 1,200,000 행
    • 7 : 1,200,000 ~ 2,500,000 행
    • 8 : 2,500,000 ~ 5,000,000 행

     

     

    4. Fields와 그 외 입력

     

     

     

Designed by Tistory.